교육 1373

한자의 일반적인 필순

漢字의 일반적인 필순 1. 한자의 기본 필법은 항상 위에서 아래로 쓴다. : 三, 工, 言, 客 2.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 川, 州, 側, 外 3. 가로 획과 세로획이 교차될 때, 가로 획을 먼저 쓴다. : 十, 春, 支 (예외) 세로획부터 쓴다. : 田, 角, 推 4. 좌우 삐침과 파임이 교차할 때, 좌 삐침부터 쓴다. : 人, 父, 合 5. 左(좌) 右(우) 대칭일 때, 가운데, 좌, 우순으로 먼저 쓴다. : 小, 水, 樂 (예외) 가운데를 나중에 쓴다. : 火, 性 6. 몸과 안쪽이 있을 때, 몸 쪽을 먼저 쓴다. : 內, 因, 同, 司 (예외) 우측이 터진 경우는 다르다 : 區, 匹, 臣 7. 가로획이 길고 왼쪽 삐침이 짧으면 왼쪽 삐침부터 쓴다. : 右, 布, 希, 有 8. 가로획이 짧..

부수(部首)를 찾기 어려운 한자

部首(부수)를 찾기 어려운 한자. 一 (한 일) : 上 (위 상), 下 (아래 하), 丁 (넷째천간/고무래 정), 且 (또 차) 丶 (점 주) : 主 (주인 주) 丿 (삐침 별) : 乃 (이에 내), 久 (오랠 구), 之 (갈지) 乙 (새을) : 九 (아홉 구), 乞 (빌 걸) 亅 (갈고리 궐) : 了 (마칠 료), 予 (나/줄 여), 事 (일 사) 二 (두 이) : 于 (어조사 우), 五 (다섯 오), 互 (서로 호) 儿 (어진사람인발):兄 (맏 형), 兆 (조짐/조 조), 先 (먼저 선) 匕 (비수 비) : 化 (될/화할 화), 北 (북녘 북) 厶 (마늘 모) : 去 (갈 거), 參 (석 삼) 又 (또 우) : 及 (미칠 급), 叛 (배반할 반) 夕 (저녁 석) : 外 (밖/바깥 외), 夜 (밤 야)..

변형된 부수들의 예로서 반드시 알아 두어야 자전을 찾는데 도움이 된다.

변형된 부수들의 예로서 반드시 알아 두어야 자전을 찾는데 도움이 된다. 刀(칼 도) : 刂 (선칼도방) : 分(나눌 분), 別(나눌 별), 到(이를 도) 人(사람 인) : 亻 (사람인변) : 仁(어질 인), 信(믿을 신) 川(내 천) : 巛 (개미허리) : 巡(돌/순행할 순), 巢(집 소) 阜(언덕 부) : 阝 (좌부변) : 防(둑 방), 降(항복할 항/내릴 강), 院(담 원) 邑(고을 읍) : ⻏ (우부방) : 邦(나라 방), 都(도읍 도), 郡(고을 군), 鄕(시골 향) 手(손 수) : 扌 (재방변) : 投(던질 투), 技(재주 기) 心(마음 심) : 忄 (심방변) : 悟(깨달을 오), 性(성품 성) 爪(손톱 조) : 爫 (손톱조) : 爭(다툴 쟁), 爲(할/위할 위) 网(그물 망) : 罒 (그물망)..

한자(漢字)부수(部首)의 명칭(名稱)

漢字(한자) 부수(部首)의 명칭(名稱) 가) 자전(字典)에 실려 있는 한자들은 그 구성 원리와 획수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나) 각 부수는 그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은 명칭이 있다. 변 왼쪽 부분을 차지하는 부수 예 : 亻 ( 사람인 변 :仁, 信 ) 往, 得 방 오른쪽을 차지하는 부수 예 : 頁 ( 머리 혈 : 頭, 頂, 順 ) 放 머리 윗부분에 놓여 있는 부수 예 : 艹 (초두머리 : 花) 宀 (갓머리 : 安, 家 ) 答 발(밑) 아래 부분에 놓여있는 부수 예 : 灬 ( 연화발 : 無, 熱, 烈 ) 心(마음 심 : 忠, 志, 思) 엄 위와 왼쪽을 싸는 부수 예 : 广 ( 엄호 : 度, 廣 ) 尸 (주검시엄 : 居, 屋 ) 받침 왼쪽과 밑을 싸는 부수 예 : 辶 ( 책받침 : 道, 近, 遠 ) 廴( 민..

육서(六書)

六書(육서) 1.상형(象形) 象形文字(상형문자) :사물의 모양(形)을 본떠서 만든 글자. (대부분의 한자는 상형에서 출발한 것이므로 한자를 형성하는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예 : 日, 月, 木, 水, 火, 山, 川, 人, 心, 口, 目, 耳, 禾, 馬, 魚, 足. 2.지사(指事) 指事文字(지사문자) : 사물의 모양으로 본뜰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을 기호로 나타낸 것이다. 예 : ① 숫자 ( 一, 二, 三, 四, 五, 七, 八, 九. ) ② 上, 中, 下. ③ 本, 末. ④ 天 3.회의(會意) 會意文字(회의문자) :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한자를 그 뜻에 따라 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만들어 다른 뜻을 나타내는 것이다. [ 뜻 + 뜻 = 새로운 뜻 ] 예 : 日 + 月 = 明 ( 해와 달이 합쳐 밝다는..

효도의 시작과 끝 (孝之始終)

孝之始終 (효도의 시작과 끝) - 출전 : 효경(孝經) 身體髮膚 受之父母 (신체발부 수지부모) ⇒ 몸, 털, 살갗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라 不敢毁傷 孝之始也 (불감훼상 효지시야) ⇒ 감히 다치거나 상하게 하지 않음이 효의 시작이요. 立身行道 揚名於後世 (입신행도 양명어후세) ⇒ 몸을 바로세우고 도를 행하여 후세에 이름을 날림으로써 以顯父母 孝之終也 (이현부모 효지종야) ⇒ 부모를 드러냄이 효의 끝이니라.

맹자(孟子)의 4단(四端)과 4덕(四德)

맹자(孟子)의 4단(四端)과 4덕(四德) #. 4덕(四德) : 君子(군자)가 행하여야 한다는 4가지 품성 인(仁), 의(義), 예(禮), 지(智) 4단(四端) :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의 4가지 마음씨. #. 본성(本性)과 사단(四端)의 관계 4덕(四德) 4단(四端) 인(仁) : 측은지심(惻隱之心) : ( 형편이 ) 딱하고 가엾게 여기는 마음. 남의 불행한 처지를 보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 의(義) : 수오지심(羞惡之心) : 부끄러워하는 마음 의롭지 못한 일에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예(禮) : 사양지심(辭讓之心) : 사양하는 마음 (겸손하여 받지 않거나 응하지 아니함) 겸손하여 남에게 사양할 줄 아는 마음, 남에게 양보할 줄 아는 마음. ..

三綱五倫과 二十四節氣

三綱五倫 (삼강오륜) 父爲子綱 (부위자강) :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근본이고 君爲臣綱 (군위신강) :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근본이고 夫爲婦綱 (부위부강) :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근본이다. 君臣有義 (군신유의) : 임금과 신하는 의가 있어야 하고 父子有親 (부자유친) : 아버지와 아들은 친함이 있어야 하며 夫婦有別 (부부유별) :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야 하며 長幼有序 (장유유서) : 어른과 어린이는 차례가 있어야 하고 朋友有信 (붕우유신) : 벗과 벗은 믿음이 있어야 한다. 二十四節氣(태양의 황도상의 위치에 따라 정한 일 년의 절기) 계절 음력 절기 양력 계절 음력 절기 양력 봄 1 월 立春(입춘) 雨水(우수) 2월 가 을 7 월 立秋(입추) 處暑(처서) 8월 2 월 驚蟄(경칩) 春分(춘분) 3월..

한자의 숫자와 갖은자

漢字의 숫자. 갖은자 : 한자 숫자에는 그냥 숫자와 갖은자가 있는데 갖은자는 돈의 액수 등을 기록할 때 함부로 고치지 못하도록 획이 더 많고 구성을 달리한 한자를 말한다. 이 중 4 6 7 8 9 100은 갖은자로 잘 쓰지 않는다. 아라비아 숫자 한자 갖은자 읽기 1 一 壹 일 (한/하나) 2 二 貳 이 (두/둘) 3 三 參 삼 (간여할/셋) 4 四 肆 사 (방자할/넷) 5 五 伍 오 (대오/다섯) 6 六 陸 육 (뭍/여섯) 7 七 漆 = 柒 칠 (옻칠할/일곱) 8 八 捌 팔 (깨트릴/여덟) 9 九 玖 구 (옥돌/아홉) 10 十 拾 십 (열/주을 습) 100 百 佰 백 (일백) 1,000 千 仟 천 (일천) 10,000 萬(万) 만 (일만) 100,000,000 億(亿) 억 (억) 兆 조 (조짐) 京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