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음에 대하여
장난삼아 짓다[戲成] 사람들은 대체로 늙는 걸 싫어한다지만 늙은 나는 오히려 늙은 내가 좋다네 징소리며 북소리가 귀에 들리니 음악이 무슨 필요며 아지랑이며 꽃이 눈에 보이니 봄을 기다릴 것 없어라 흰머리나마 이미 다 빠졌으니 빗은 없어도 되고 낮잠이 여간해선 들지 않으니 참신한 시구도 얻지 누워서 손주 녀석 재롱떠는 모습 보고 있노라니 어찌 봐도 내가 아는 젊은이 신세보다야 낫고말고 世情大抵嫌衰老세정대저혐쇠로 老我猶欣作老身노아유흔작로신 金鼓在聽何用樂금고재청하용악 煙花着眼不須春연화착안불수춘 華顚已禿抛梳好화전이독포소호 午睡常稀得句新오수상희득구신 臥看兒孫供戲謔와간아손공희학 全勝托契少年人전승탁계소년인 |
- 조위한(趙緯漢, 1567~1649), 『현곡집(玄谷集)』 6권
해설 |
위 시의 저자 조위한은 이십 대에 부모님을 여의었고 임진왜란을 겪었으며 칠십 대에 병자호란을 겪었다. 이 시의 창작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고 노년에 지었을 것으로만 짐작된다. 친족의 죽음과 전쟁의 참상을 겪어 자칫 피폐할 것이라 짐작하기 쉬운 저자의 내면 풍경은 의외의 모습을 보인다.
이 시의 저자는 현대적인 관점으로 보면 신체가 제 기능을 거의 다해서 보청기와 돋보기, 그리고 가발이 필요할 것 같은 서글프다고 할 수 있는 자신의 모습을 담담한 어조를 넘어 희화화시켜 표현했다. 또한 저자는 늙은 자신을 긍정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늙는 것을 싫어하고 늙은이를 괄시하는 사람들에게 늙은 자신의 장점을 들며 이만하면 젊은이보다 낫지 않느냐며 항변한다. 발상의 전환을 통해 기존의 가치에 측면적으로 도전하고 있는 모습이 유쾌한 듯 보인다.
하지만 저자는 자신이 당면하고 있는 늙음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고 이 늙음은 죽음으로 나아가는 과정이라는 사실을 독자는 곧 깨닫게 된다. 장난삼아 지었다고 하면서 시종 유쾌한 어조를 유지하던 이 시는 결국 독자에게 엄숙한 여운을 남긴다.
글쓴이강만문(姜萬文)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
'교육 > 고전의 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의적인 인재를 키우려면 (0) | 2017.06.20 |
---|---|
죽음의 기억 (0) | 2017.06.13 |
대한의 의로운 선비 정시해 (0) | 2017.06.09 |
정해 놓은 길에 집착 말라 (0) | 2017.06.07 |
죽음과 바꾼 스승의 가르침 (0) | 2017.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