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십갑자(六十甲子)
육십갑자란 무엇인가 ?
육십갑자는 고대의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법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던 주기
이름이다. 1주일의 주기가 7일 이듯 육십갑자의 주기는 60년이다.
일주일의 하루 하루에 월(月), 화(火), 수(水) 등 각기 다른 명칭이 있듯 육십갑
자의 한 해도 각기 다른 간지(干支)이름을 가지고 있다.
옛날 우리 조상은 사건이나 행사가 일어난 해(年)를 나타낼 때 이 간지(干支)
이름을 사용하여 나타냈던 것이다.
예컨데 우리가 '기미(己未)三一운동', 임진왜란(壬辰倭亂)' 또는 '병자호란(丙子
胡亂)'을 말할 때, 기미(己未), 임진(壬辰), 병자(丙子)는 모두 육십갑자표(六十甲
子表)에 들어 있는 간지(干支)이름을 딴 것이다. '기미(己未)三一운동'은 기미(己
未)년 (서기 1919년)에 일어났던 三一운동을 뜻하고, '임진왜란(壬辰倭亂)'은
임진(壬辰)년 (선조(宣祖)25년, 즉 서기 1592년에 일어났던 일본군과의 싸움을 뜻
한다. 그리고 병자호란(丙子胡亂)은 병자(丙子)년 인조(仁祖)14년, 즉 서기 1636
년에 일어났던 청군(靑軍)과의 싸움을 뜻한다.
이와 같이 우리 조상들은 간지(干支)를 사용하여 사건발생 시기를 나타냈기 때
문에 우리가 조상들의 문헌(文獻)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사용한 육십갑자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지 않을 수 없다. 그러면 육십(六十) 갑자(甲子)의 구성을 알아
보기 위해 육십갑자표(六十甲子表)를 아래에 소개한다.
육십갑자표(六十甲子表)
육십갑자 |
육십갑자 |
육십갑자 |
갑자 (甲子) |
갑술 (甲戌) |
갑신 (甲申) |
을축 (乙丑) |
을해 (乙亥) |
을유 (乙酉) |
병인 (丙寅) |
병자 (丙子) |
병술 (丙戌) |
정묘 (丁卯) |
정축 (丁丑) |
정해 (丁亥) |
무진 (戊辰) |
무인 (戊寅) |
무자 (戊子) |
기사 (己巳) |
기묘 (己卯) |
기축 (己丑) |
경오 (庚午) |
경진 (庚辰) |
경인 (庚寅) |
신미 (辛未) |
신사 (辛巳) |
신묘 (辛卯) |
임신 (壬申) |
임오 (壬午) |
임진 (壬辰) |
계유 (癸酉) |
계미 (癸未) |
계사 (癸巳) |
육십갑자 |
육십갑자 |
육십갑자 |
갑오 (甲午) |
갑진 (甲辰) |
갑인 (甲寅) |
을미 (乙未) |
을사 (乙巳) |
을묘 (乙卯) |
병신 (丙申) |
병오 (丙午) |
병진 (丙辰) |
정유 (丁酉) |
정미 (丁未) |
정사 (丁巳) |
무술 (戊戌) |
무신 (戊申) |
무오 (戊午) |
기해 (己亥) |
기유 (己酉) |
기미 (己未) |
경자 (庚子) |
경술 (庚戌) |
경신 (庚申) |
신축 (辛丑) |
신해 (辛亥) |
신유 (辛酉) |
임인 (壬寅) |
임자 (壬子) |
임술 (壬戌) |
계묘 (癸卯) |
계축 (癸丑) |
계해 (癸亥) |
위의 표(表)를 보면 육십갑자((六十甲子)는 60년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해(간지)는
두 자(字)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게 된다. 각 줄의 윗 글자 10자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를
십간(十干)이라고 부르는데, 이 십간(十干)은 육십갑자안에 여섯 번 들어 있다.
그러니까 십간(十干)이 10년 마다 한번 씩 돌아온다는 이야기가 된다. 참고로 한자(漢字)
22자를 가지고 60개의 간지가 어떻게 구성되는가를 보여주기 위해 다음에 육십(六十)갑자
(甲子) 구성도표를 싣는다
|
| |||||||||||||||||||||||||||||||||||||||||||||||||||
|
- 아래의 天干(천간:십간)과 地支(지지:십이지)의 내용을 한 번 상기해
*천간(天干) -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 [10개] | |||||||||||||||||||||||||||||||||||||||||||||||||||
|
| |||||||||||||||||||||||||||||||||||||||||||||||||||
|
| |||||||||||||||||||||||||||||||||||||||||||||||||||
|
* 부연 한마디 干支(간지)나 節氣(절기) 등을 비롯한 수 많은 전통 생활 양식을 그저 구 시대의 잔재 정도로 인식하거나 하찮은 것으로 치부한다면, 우리 민족의 역사 속에 면면히 이어 내려온 유구한 생활 양식의 문화 유산(文化遺産)을 스스로 부정하고 도외시(度外視)하는 누를 범하게 됩니다. 진정한 전통 문화 유산에 대해 올바로 인식하고 현대적 감각으로 재창조해 낼 때 우리 후손들에게 자랑스러운 유산을 물려 줄 수 있는 것입니다.
| |||||||||||||||||||||||||||||||||||||||||||||||||||
|
|
|
천간과 지지
|
정리 및 참고사항:
1. 간지(干支)
1) 십이지(十二支)
12지 |
자(子) |
축(丑) |
인(寅) |
묘(卯) |
진(辰) |
사(巳) |
오(午) |
미(未) |
신(申) |
유(酉) |
술(戌) |
해(亥) |
동물 |
쥐 |
소 |
호랑이 |
토끼 |
용 |
뱀 |
말 |
양 |
원숭이 |
닭 |
개 |
돼지 |
음력일 |
11 |
12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방위 |
북 |
북동 |
동 |
동남 |
남 |
남서 |
서 |
서북 | ||||
시각 |
23~1 |
1~3 |
3~5 |
5~7 |
7~9 |
9~11 |
11~13 |
13~15 |
15~17 |
17~19 |
19~21 |
21~23 |
2) 십간(十干)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
3)육십갑자(六十甲子) : 십간을 축으로 십이지를 순서대로 돌린다.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술 을해 ~~~ 경신 신유 임술 계해 갑자 ~~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甲戌 乙亥 ~~~ 庚申 辛酉 壬戌 癸亥 甲子 ~~
2.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봄 |
입춘(立春) |
우수(雨水) |
경칩(驚蟄) |
춘분(春分) |
청명(淸明) |
곡우(穀雨) |
여름 |
입하(立夏) |
소만(小滿) |
망종(芒種) |
하지(夏至) |
소서(小暑) |
대서(大暑) |
가을 |
입추(立秋) |
처서(處暑) |
백로(白露) |
추분(秋分) |
한로(寒露) |
상강(霜降) |
겨울 |
입동(立冬) |
소설(小雪) |
대설(大雪) |
동지(冬至) |
소한(小寒) |
대한(大寒) |
* 삼복(三伏) . 초복(初伏) : 하지(夏至)후의 셋째 경일(庚日) . 중복(中伏) : 하지(夏至)후의 넷째 경일(庚日) . 말복(末伏) : 입추(立秋)가 지난 뒤의 첫 경일(庚日)
3. 호칭(呼稱)
1) 가족의 호칭
구분 |
자기 |
타인 | ||
생존시 |
사후 |
생존시 |
사후 | |
父 |
가친(家親) |
선친(先親) |
춘부장(春府丈) |
선대인(先大人) |
모 |
자친(慈親) |
선비(先搙)선자(先慈) |
자당(慈堂) |
선대부인(先大夫人) |
祖父 |
조부(祖父) |
조고(組考) |
왕존장(王尊丈) |
선조부장(先祖父丈) |
祖母 |
조모(祖母) |
조비(祖搙) |
왕대부인(王大夫人) |
선왕대부인(先王大夫 |
子 |
가아(家兒) |
망아(亡兒) |
영랑(令郞) |
|
女 |
여식(女息) |
|
영애(令愛) |
|
孫 |
손자(孫子) |
|
영포(令抱) |
|
☞ 기타 . 질부(姪婦) : 조카 며느리 . 당숙(堂叔) : 아버지의 사촌형제 . 시삼촌(媤三寸) : 남편의 사촌 . 동서(同斷) : 자매의 남편끼리 또는 형제의 아내끼리의 호칭 . 영부인(令夫人), 영실(令室), 합부인(閤夫人) : 남의 부인 . 처(妻), 내자(內子), 내당(內堂), 가인(家人) : 자기의 부인
2) 사교간 호칭
대상자 |
자기가 호칭할 때 |
자기를 호칭할 때 |
은사(恩師) |
선생님, 선생주(先生主), 장용(丈庸), 함장(函丈) |
소자(小子), 문하생(門下生), |
존장(尊長) |
어르신네, 존장(尊長), 장씨(丈氏) |
시생(侍省), 시하생(侍下生) |
관직인(官職人) |
각하(閣下), 귀관(貴官), 귀직(貴職) |
본직(本職), 소솬(小官), |
미견인(未見人) |
존좌(尊座), 존집(尊執), 집사(執事) |
自己이름, 自己이름生 |
십년이상노형 |
노형(老兄), 존형(尊兄), |
소제(小弟) |
평교간(平交間) |
형(兄), 인형(仁兄), 사형(詞兄), 학형 (學兄), 대형(大兄) |
제(弟), 졸제(拙弟), 손제(損弟), 학 제(學弟) |
자기가정(自己家庭) |
대소댁(大小宅), |
이곳, 권속(眷屬), 권솔(眷率), |
남의가정(家庭) |
귀댁(貴宅), 고당(高堂) |
졸택(拙宅), 비가(鄙家), |
4. 나이를 나타내는 한자어
10대 : 충년(沖年) |
40세 : 불혹(不惑) |
62세 : 진갑(進甲) |
90세 : 졸수(卒壽) |
15세 :지학(志學) |
50세 : 지천명(知天命) |
70세:고희(古稀), 종심(從心) |
91세 : 망백(望百) |
20세 :약관(弱冠) |
60세 : 이순(耳順) |
77세 : 희수(喜壽) |
99세 : 백수(白壽) |
30세 :이립(而立) |
61세 :회갑(回甲),환갑(還甲) |
88세 : 미수(米壽) |
100세:기원지수(期願之壽) |
'교육 > 한문(한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상형 문자 (옥편에도 없는 신식 한자와 生活) (0) | 2010.08.31 |
---|---|
[스크랩] 한자 고사성어 찾는 프로그램 (0) | 2010.07.28 |
[스크랩] 음식과 질병 (0) | 2010.05.18 |
속담(俗談) (0) | 2010.04.14 |
잊혀져 가는 옛날 말들 (0) | 2010.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