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청빈(淸貧), 청부(淸富) 부귀한 처지에 있으면 부귀에 걸맞게 행동하고, 빈천한 처지에 있으면 빈천에 걸맞게 행동하라. 素富貴。行乎富貴。素貧賤。行乎貧賤。 소부귀。행호부귀。소빈천。행호빈천。 - 윤기(尹愭), 〈빈부설(貧富說)〉, 《무명자집(無名子集)》 ‘부자아빠 되기’, ‘재테크 전략’ 등 돈 잘 버는 .. 교육/고전의 향기 2010.09.10
[스크랩] 초라한 나의 집 마음이 안정되고 몸이 편안하거늘 그 누가 누추하다 하는가. 心安身便 孰謂之陋 심안신편 숙위지루 - 허균(許筠),〈누실명(陋室銘)〉,《성소부부고(惺所覆瓿稿)》 위 글은 조선 중기의 문인 성소(惺所) 허균(許筠 1569~1618)이 지은〈누실명(陋室銘)〉의 일부입니다. 저자는 해가 들면 밝고 따스한 .. 교육/고전의 향기 2010.09.10
[스크랩] 벼랑 위에서 싸우다니 가련타, 이해가 상충되는 곳이라면, 작은 이익에 집착할 뿐, 몸은 아니 돌아보네. 可憐利害相形處 只見絲毫不見軀 가련이해상형처 지견사호불견구 - 권구(權榘),〈투자(鬬者)〉,《병곡집(屛谷集)》 ‘당국자미(當局者迷), 방관자명(傍觀者明)’이라는 말이 있다. 당사자들보다 훈수 두는 .. 교육/고전의 향기 2010.09.10
[스크랩] 아첨의 기술 왕이라는 명칭이면 나에게는 충분하니, 황제라는 명칭이야 내가 무슨 덕이 있어 감당하겠느냐? 王於我足矣。 而帝以何德堪之。 왕어아족의。 이제이하덕감지。 - 이하곤(李夏坤),〈아첨하는 여우 이야기[媚狐說]〉,《두타초(頭陀草)》 여우는 호랑이에게 아첨을 잘 했습니다. 그럴 때마다 호랑이는 .. 교육/고전의 향기 2010.09.10
[스크랩] 나에게서 구하라. 남을 보느니 나 자신을 보고 남에게서 듣느니 나 자신에게서 들으리라. 與其視人寧自視 與其聽人寧自聽 여기시인녕자시 여기청인녕자청 - 위백규(魏伯珪),〈좌우명(座右銘)〉,《존재집(存齋集)》 위 글은 조선 중기 문인 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 1727 ~ 1798)가 10세 때에 지은 좌우명(座右銘)입니다. 요.. 교육/고전의 향기 2010.09.10
[스크랩] 침묵하는 죄가 더 크다 말하지 말아야 할 때에 말하는 것은 그 죄가 작지만, 말해야 할 때에 말하지 않는 것은 그 죄가 크다. 未可以言而言者 其罪小。可以言而不言者 其罪大。 미가이언이언자 기죄소 。가이언이불언자 기죄대。 - 조선(朝鮮) 정조(正祖),〈추서춘기(鄒書春記)〉,《홍재전서(弘齋全書)》 ‘설화(舌禍)’라는.. 교육/고전의 향기 2010.09.10
[스크랩] 좋은 일을 만났을 때 즐거움이 극에 달하면 슬픔이 생기고 유익한 일을 당하면 겸손하기를 생각해야 한다. 樂極而生哀。當益而慮謙。 락극이생애。당익이려겸。 - 남효온(南孝溫), 〈유해운대서(遊海雲臺序)〉, 《추강집(秋江集)》 〈해운대〉라는 영화가 천만 관객 동원으로 화제가 되었습니다. 완성도 있는 컴퓨터그래.. 교육/고전의 향기 2010.09.10
[스크랩] 과음(過飮)에 대한 경계 하루를 취하면 하루가 늦어지고, 한 달을 취하면 한 달이 늦어진다. 醉一日則遲一日。醉一月則遲一月。 취일일즉지일일。취일월즉지일월。 - 정양(鄭瀁),〈자경잠(自警箴)〉《포옹집(抱翁集)》 사실 음주는 단점보다는 장점이 많은 것 같습니다. 기쁨은 더욱 크게 해주고, 슬픔은 잊게 만들어 줍니다.. 교육/고전의 향기 2010.09.10
[스크랩] 철모르는 사람들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추운 것이 사계절의 정상적인 이치니, 만일 이와 반대가 된다면 곧 괴이한 것이다. 夏熱冬寒。四時之常數也。苟反是則爲恠異。 하열동한。사시지상수야。구반시즉위괴이。 - 이규보(李奎報),〈괴토실설(壞土室說)〉, 《동문선(東文選)》96권 이규보(1168~1241) 선생이 어.. 교육/고전의 향기 2010.09.10
[스크랩] 상류에서 날고기를 씻으면 상류에서 날고기를 씻으면 물고기는 비린내 나는 물을 마시면서 비린내를 맡고, 상류에서 여뀌 잎이 썩어 문드러지고 있으면 물고기는 더러운 물을 마시면서 악취를 맡는다. 自上流洗鮮肉 則魚飮腥羶之水 而聞腥羶之臭 자상류세선육 즉어음성전지수 이문성전지취 在上流糜亂蓼.. 교육/고전의 향기 201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