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제사의 적벽 선유
동파선 놀던 임술년 가을을 다시 맞이하여
풍악 울리며 배 가는 대로 맡기네.
바다 하늘 보니 달이 더욱 밝고
통제사의 검기로 시 지어 보네.
이제야 밝은 해가 누각을 둘러싸고
새삼 미풍이 타루에 불어오는 걸 알겠네.
천하 뭇 생명들이 말갛게 익기를 생각하니
어디에 가야 눈썹에 시름이 없어질까.
蘇仙壬戌重逢秋소선임술중봉추
簫鼓中流任去留소고중류임거류
滄海天光多月夜창해천광다월야
元戎劍氣作詩遊원융검기작시유
始知爀日圍官閣시지혁일위관각
轉覺微風拂舵樓전각미풍불타루
大地群生思濯熟대지군생사탁숙
眉頭何處可無愁미두하처가무수
- 신헌(申櫶, 1810~1884), 『위당집(葳堂集)』〈임술년 7월 16일 공주도에서 뱃놀이하다.[壬戌秋七月旣望舟遊拱珠島]〉
위당(葳堂) 신헌(申櫶, 1810∼1888)은 19세기 순조와 대원군집권기에 활약한 문무겸전의 관료였다.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국빈(國賓), 초명은 관호(觀浩)이다. -그는 상당히 늦은 나이인 58세에 櫶이라고 개명하였다. 『승정원일기』 고종 5년 3월 29일. “行知三軍府事申觀浩名字, 改以櫶.”- 그의 집안은 문반 가문이었다가 5대조 신한장(申漢章)이 무과에 급제한 이래로 증조부 신대준(申大儁)부터 무반가문으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신헌도 삼도수군통제사, 훈련대장, 어영대장, 병조판서 등 군사관련 고위직을 역임하였던 무인이지만 문인으로서도 상당한 명성이 있었다. 13세 때부터 시를 짓기 시작하여 20대에 이미 시인으로서 명성이 높았다. 신헌은 전라우수사 시절 제주도에서 유배살이 하던 김정희에게 서신을 보내어 자신의 서예와 금석학, 시학에 대하여 문의하였고, 다산 정약용의 문하를 통해 정약용을 사숙하였다. 그가 교유한 인물들도 흥선대원군을 비롯하여 환재(瓛齋) 박규수(朴珪壽), 초의(草衣) 의순(意恂), 소치(小癡) 허련(許鍊), 추금(秋琴) 강위(姜瑋), 위사(韋史) 신석희(申錫禧) 등 당대의 인사들이었다.
대체로 적벽 선유를 주제로 지은 시는 강을 유람한 흥취를 주제로 하지만, 신헌의 시는 그 내용과 장소에서 여타 작품들과 사뭇 다르다. 그는 삼도수군통제사 시절 임술년 7월 16일을 맞이하여 통제영 앞바다 공주도(拱珠島)로 적벽 선유를 즐긴다. 통영의 지세는 게가 여의주를 가지고 노는 형세라고도 하고 신룡농주격(神龍弄珠格)이라고도 하는데, 공주도가 바로 여의주에 해당한다고 전한다.
수련에서는 소식이 적벽 선유를 즐겼던 해와 날짜가 돌아왔음을 기념하여 피리 불고 장구치며 성대하고 흥겹게 벌이는 모습을 읊었다. 함련은 통제영 앞바다에서 즐기는 뱃놀이의 특별함을 잘 나타내었다. 사방이 탁 트인 바다에서 바라본 달빛은 더욱 밝고, 통제사와 그 휘하 우후들의 시 짓기는 검기를 연상할 정도로 호기롭고 서릿발 같은 기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경련의 爀日과 微風은 모두 임금의 은택을 뜻한다. 신헌은 삼도수군통제사에 제수되기 이전 헌종이 위독할 때 사사로이 궁궐 밖의 의원을 들였다는 혐의로 1849년 전라도 녹도진으로 유배되었다가 1857년 정월에 사면되기 때문이었다. 신헌은 유배가 풀리자마자 요직에 제수시킨 임금의 은택과 덕화에 대한 고마움을 표현한 것이다. 하지만 미련에서는 이러한 즐거움 속에서도 근심을 풀지 못하는 면모를 보이며 끝맺는다.
가을이 되어 천하 만물들이 풍요로워지는 가운데, 신헌은 어째서 저렇게 근심했을까. 그것은 같은 해 있었던 임술 민란 때문일 것이다. 비록 『승정원일기』에 신헌이 임술 민란에 대한 구제책을 아뢴 내용은 없지만, 그의 벗 박규수가 경상도 안핵사로 제수되어 진주 민란의 원인이 전 우병사 백낙신(白樂莘)의 탐욕으로 인한 것이었음을 장계로 올린 점 등을 통해 그 폐해와 대책 마련에 깊이 통감하고 있었을 것이다. 신헌은 적벽 선유를 통해 임술 민란이 가져다 준 어수선한 시세를 잠시나마 잊으려고 하였던 것이다.
신헌은 망국의 전조를 보고 이를 근심하면서도 끝까지 나라와 운명을 함께 하였다. 임술 민란 몇 년 후 1866년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신헌은 총융사로서 강화도를 수비하였고 1876년 병자수호조약과 1882년 조미통상조약에도 노구를 이끌고 이를 주도하여 체결하였다. 신헌의 손자 중 신팔균(申八均)은 1919년 서로군정서에 가담하여 신흥무관학교 교관에 취임하여 독립군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이렇게 나라를 위해 헌신한 공을 드러내지 않은 가문들이 아직도 우리 주변에 남아 있다. 이들을 밝혀내고 선양해야 조선에서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역사를 제대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글쓴이 : 이승재
한국고전번역원 번역위원
'교육 > 고전의 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비리속속리산(山非離俗俗離山)'을 찾아서 (3) | 2023.10.18 |
---|---|
담배를 키우다 얻은 교훈 (2) | 2023.10.06 |
그토록 하늘빛이 밝은날이면 (2) | 2023.09.15 |
생각의 계절 (2) | 2023.09.01 |
아버지의 얼굴 (1) | 2023.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