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954

한자(漢字)부수(部首)의 명칭(名稱)

漢字(한자) 부수(部首)의 명칭(名稱) 가) 자전(字典)에 실려 있는 한자들은 그 구성 원리와 획수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나) 각 부수는 그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은 명칭이 있다. 변 왼쪽 부분을 차지하는 부수 예 : 亻 ( 사람인 변 :仁, 信 ) 往, 得 방 오른쪽을 차지하는 부수 예 : 頁 ( 머리 혈 : 頭, 頂, 順 ) 放 머리 윗부분에 놓여 있는 부수 예 : 艹 (초두머리 : 花) 宀 (갓머리 : 安, 家 ) 答 발(밑) 아래 부분에 놓여있는 부수 예 : 灬 ( 연화발 : 無, 熱, 烈 ) 心(마음 심 : 忠, 志, 思) 엄 위와 왼쪽을 싸는 부수 예 : 广 ( 엄호 : 度, 廣 ) 尸 (주검시엄 : 居, 屋 ) 받침 왼쪽과 밑을 싸는 부수 예 : 辶 ( 책받침 : 道, 近, 遠 ) 廴( 민..

육서(六書)

六書(육서) 1.상형(象形) 象形文字(상형문자) :사물의 모양(形)을 본떠서 만든 글자. (대부분의 한자는 상형에서 출발한 것이므로 한자를 형성하는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예 : 日, 月, 木, 水, 火, 山, 川, 人, 心, 口, 目, 耳, 禾, 馬, 魚, 足. 2.지사(指事) 指事文字(지사문자) : 사물의 모양으로 본뜰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을 기호로 나타낸 것이다. 예 : ① 숫자 ( 一, 二, 三, 四, 五, 七, 八, 九. ) ② 上, 中, 下. ③ 本, 末. ④ 天 3.회의(會意) 會意文字(회의문자) :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한자를 그 뜻에 따라 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만들어 다른 뜻을 나타내는 것이다. [ 뜻 + 뜻 = 새로운 뜻 ] 예 : 日 + 月 = 明 ( 해와 달이 합쳐 밝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