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한문(한자)자료 66

한시(漢詩)의 이해(理解)

한시(漢詩)의 이해(理解) 詩란 시인의 주관적인 정서를 고도의 함축을 통해 표현하는 글이다. 1. 한시의 특징(特徵) 가. 내용(內容)이 간결(簡潔)하고 함축성(含蓄性)이 있다. 나. 운율(韻律)에 맞추어 대자(對字), 대구(對句) 등으로 수식(修飾)한다. 다. 회화성(繪畫性), 상징성(象徵性)을 중시(重視)한다. 라. 기(起), 승(承), 전(轉), 결(結)로 구성(構成)됨. 2. 한시의 정의(定義) 한자(漢字)로 기록된 시로 5언(五言), 7언(七言) 등의 정해진 글자 수에 맞추어 작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한 시를 말한다. 3. 한시의 분류(分類)와 형식(形式) - 한시의 분류기준 : 자수(字數), 구수(句數), 압운(押韻), 운자(韻字), 위치(位置) 등이다. - 자수는 5언, 7언이 대부분이..

한자의 일반적인 필순

漢字의 일반적인 필순 1. 한자의 기본 필법은 항상 위에서 아래로 쓴다. : 三, 工, 言, 客 2.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 川, 州, 側, 外 3. 가로 획과 세로획이 교차될 때, 가로 획을 먼저 쓴다. : 十, 春, 支 (예외) 세로획부터 쓴다. : 田, 角, 推 4. 좌우 삐침과 파임이 교차할 때, 좌 삐침부터 쓴다. : 人, 父, 合 5. 左(좌) 右(우) 대칭일 때, 가운데, 좌, 우순으로 먼저 쓴다. : 小, 水, 樂 (예외) 가운데를 나중에 쓴다. : 火, 性 6. 몸과 안쪽이 있을 때, 몸 쪽을 먼저 쓴다. : 內, 因, 同, 司 (예외) 우측이 터진 경우는 다르다 : 區, 匹, 臣 7. 가로획이 길고 왼쪽 삐침이 짧으면 왼쪽 삐침부터 쓴다. : 右, 布, 希, 有 8. 가로획이 짧..

부수(部首)를 찾기 어려운 한자

部首(부수)를 찾기 어려운 한자. 一 (한 일) : 上 (위 상), 下 (아래 하), 丁 (넷째천간/고무래 정), 且 (또 차) 丶 (점 주) : 主 (주인 주) 丿 (삐침 별) : 乃 (이에 내), 久 (오랠 구), 之 (갈지) 乙 (새을) : 九 (아홉 구), 乞 (빌 걸) 亅 (갈고리 궐) : 了 (마칠 료), 予 (나/줄 여), 事 (일 사) 二 (두 이) : 于 (어조사 우), 五 (다섯 오), 互 (서로 호) 儿 (어진사람인발):兄 (맏 형), 兆 (조짐/조 조), 先 (먼저 선) 匕 (비수 비) : 化 (될/화할 화), 北 (북녘 북) 厶 (마늘 모) : 去 (갈 거), 參 (석 삼) 又 (또 우) : 及 (미칠 급), 叛 (배반할 반) 夕 (저녁 석) : 外 (밖/바깥 외), 夜 (밤 야)..

변형된 부수들의 예로서 반드시 알아 두어야 자전을 찾는데 도움이 된다.

변형된 부수들의 예로서 반드시 알아 두어야 자전을 찾는데 도움이 된다. 刀(칼 도) : 刂 (선칼도방) : 分(나눌 분), 別(나눌 별), 到(이를 도) 人(사람 인) : 亻 (사람인변) : 仁(어질 인), 信(믿을 신) 川(내 천) : 巛 (개미허리) : 巡(돌/순행할 순), 巢(집 소) 阜(언덕 부) : 阝 (좌부변) : 防(둑 방), 降(항복할 항/내릴 강), 院(담 원) 邑(고을 읍) : ⻏ (우부방) : 邦(나라 방), 都(도읍 도), 郡(고을 군), 鄕(시골 향) 手(손 수) : 扌 (재방변) : 投(던질 투), 技(재주 기) 心(마음 심) : 忄 (심방변) : 悟(깨달을 오), 性(성품 성) 爪(손톱 조) : 爫 (손톱조) : 爭(다툴 쟁), 爲(할/위할 위) 网(그물 망) : 罒 (그물망)..

한자(漢字)부수(部首)의 명칭(名稱)

漢字(한자) 부수(部首)의 명칭(名稱) 가) 자전(字典)에 실려 있는 한자들은 그 구성 원리와 획수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나) 각 부수는 그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은 명칭이 있다. 변 왼쪽 부분을 차지하는 부수 예 : 亻 ( 사람인 변 :仁, 信 ) 往, 得 방 오른쪽을 차지하는 부수 예 : 頁 ( 머리 혈 : 頭, 頂, 順 ) 放 머리 윗부분에 놓여 있는 부수 예 : 艹 (초두머리 : 花) 宀 (갓머리 : 安, 家 ) 答 발(밑) 아래 부분에 놓여있는 부수 예 : 灬 ( 연화발 : 無, 熱, 烈 ) 心(마음 심 : 忠, 志, 思) 엄 위와 왼쪽을 싸는 부수 예 : 广 ( 엄호 : 度, 廣 ) 尸 (주검시엄 : 居, 屋 ) 받침 왼쪽과 밑을 싸는 부수 예 : 辶 ( 책받침 : 道, 近, 遠 ) 廴( 민..

육서(六書)

六書(육서) 1.상형(象形) 象形文字(상형문자) :사물의 모양(形)을 본떠서 만든 글자. (대부분의 한자는 상형에서 출발한 것이므로 한자를 형성하는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예 : 日, 月, 木, 水, 火, 山, 川, 人, 心, 口, 目, 耳, 禾, 馬, 魚, 足. 2.지사(指事) 指事文字(지사문자) : 사물의 모양으로 본뜰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을 기호로 나타낸 것이다. 예 : ① 숫자 ( 一, 二, 三, 四, 五, 七, 八, 九. ) ② 上, 中, 下. ③ 本, 末. ④ 天 3.회의(會意) 會意文字(회의문자) :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한자를 그 뜻에 따라 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만들어 다른 뜻을 나타내는 것이다. [ 뜻 + 뜻 = 새로운 뜻 ] 예 : 日 + 月 = 明 ( 해와 달이 합쳐 밝다는..

효도의 시작과 끝 (孝之始終)

孝之始終 (효도의 시작과 끝) - 출전 : 효경(孝經) 身體髮膚 受之父母 (신체발부 수지부모) ⇒ 몸, 털, 살갗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라 不敢毁傷 孝之始也 (불감훼상 효지시야) ⇒ 감히 다치거나 상하게 하지 않음이 효의 시작이요. 立身行道 揚名於後世 (입신행도 양명어후세) ⇒ 몸을 바로세우고 도를 행하여 후세에 이름을 날림으로써 以顯父母 孝之終也 (이현부모 효지종야) ⇒ 부모를 드러냄이 효의 끝이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