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가장 많이 쓰는 한자 약자 요약
가(價)값 価, (暇)틈/겨를 昄, (假)거짓 仮
각(覺)깨달을 覚
감(監)볼 监
개(蓋)덮을 盖
거(據)근거/의지할 拠, (擧)들 挙
검(檢)검사할 検, (劍)칼 剣, (儉)검소할 倹
견(堅)굳을 坚
결(缺)이지러질 欠
경(經)날실/길/글 経, (輕)가벼울 軽, (徑)지름길 径
계(繼)이을 継
고(皐)언덕 皋
관(觀)볼 覌, (關)관문/관계할 関, (館)집/객사 舘
광(廣)넓을 広, (鑛)쇳돌 鉱
구(區)구분할/구역 区, (舊)옛 旧, (驅)몰 駆
국(國)나라 国
권(勸)권할 劝, (權)권세 权
귀(龜)거북 귀/나라이름 구/틀 균 亀
기(棄)버릴 弃, (气)기운 気
긴(緊)긴할 紧
녕(寧)편안할 寍
뇌(腦)골/뇌수 脳, (惱)번뇌할 悩
단(斷)끊을 断, (團)둥글 団
담(擔)멜 担, (膽)쓸개 胆
당(黨)무리 党, (當)마땅할 当
대(臺)대 台, (對)대할 対, (擡)들 抬
도(燾)비칠 焘, (圖)그림 図
독(獨)홀로 独, (讀)읽을 독/구두(점) 두 読
동(同)같을/한가지 仝
등(燈)등불 灯
란(亂)어지러울 乱
람(覽)볼 览, (濫)넘칠 滥, (藍)쪽/남색 람 蓝, (籃)대바구니 篮
래(來)올 来
량(兩)두 両
려(勵)힘쓸 励, (廬)오두막집 庐
련(戀)그리워할 恋, (聯)연이을 联
렵(獵)사냥할 猟
령(靈)신령 灵
례(禮)예도 礼
로(勞)일할 労, (爐)화로 炉
롱(籠)대바구니 篭
룡(龍)용 竜
루(樓)다락 楼
만(萬)일만 万, (灣)물굽이 湾, (蠻)오랑캐 蛮
매(賣)팔 売
맥(脈)맥/줄기 脉, (麥)보리 麦
멱(覓)찾을/구할 覔
모(貌)모양 皃
몽(夢)꿈 梦
묘(廟)사당 庿
무(無)없을 无
발(發)필/쏠 発
변(變)변할 変, (邊)가 辺
람(藍)쪽/남색 蓝
부(敷)펼 旉
불(拂)떨칠 払, (佛)부처 仏
사(師)스승 师, (寫)베낄 写, (絲)실 糸, (辭)말씀/사양할 辞
삽(揷)꽂을 挿
상(嘗)맛볼 甞, (桑)뽕나무 桒, (狀)형상 상/문서 장 状
서(敍)베풀 叙
석(釋)풀/석가 釈
섭(攝)다스릴/잡을 摂, (燮)불꽃 变
성(聲)소리 声
세(世)인간 卋
속(屬)붙일 属, (續)이을 続
수(收)거둘 収, (隨)따를 随, (壽)목숨 寿, (獸)짐승 獣, (數)셀/자주삭 数
습(濕)젖을 湿
승(乘)탈 乗
실(實)열매 実
쌍(雙)쌍 双
아(亞)버금 亜, 아(兒)아이 児
악(惡)악할/미워할 오 悪
암(巖)바위 岩
압(壓)누를 压
애(礙)거리낄 碍
약(藥)약 薬
양(壤)흙덩이 壌
여(與)더불어/줄 与, 여(餘)남을 余
역(驛)역 駅, 역(譯)번역할 訳
염(鹽)소금 塩
영(榮)영화 栄
예(藝)재주 芸, 예(譽)기릴/명예 誊, 예(豫)미리 予
울(鬱)막힐/우거질 欝
원(遠)멀 逺, 원(員)수효/사람 貟
위(爲)할 為, 위(圍)에워쌀 囲, 위(僞)거짓 偽
은(隱)숨을 隠
음(陰)그늘 隂
응(應)응할 応
의(醫)의원 医
이(貳)두 弍
인(刃)칼날 刄
일(壹)하나 壱
잔(棧)잔교/주막/쇠북 栈
잔(殘)남을/잔인할 残
잠(蠶)누에 蚕
잡(雜)섞일 雑
장(奬)도울 奨, 장(莊)풀 성할/별장 荘, 장(裝)꾸밀 装, 장(將)장수 将
재(災)재앙 灾
쟁(爭)다툴 争
저(豬)돼지 猪
전(輾)구를 転, 전(傳)전할 伝, 전(戰)싸움 战, 전(錢)돈 銭
점(點)점 点
제(濟)건널 済, 제(齊)가지런할 斉, 제(劑)약 지을 剤
조(條)가지 条
졸(卒)군사 卆
종(從)좇을 从
주(晝)낮 昼
증(證)증거 証
진(珍)보배 珎, 진(盡)다할 尽
질(質)바탕 貭
참(慘)참혹할 惨, 참(僭)주제넘을 僣, 참(參)참여할 참/석 삼 参
처(處)살/정할 処
천(踐)밟을 践, 천(淺)얕을 浅, 천(賤)천할 賎, 천(遷)옮길 迁
철(鐵)쇠 鉃
청(廳)관청 庁, 청(聽)들을 聴
체(體)몸 体
촉(觸)닿을 触
총(總)다/묶을 総
충(蟲)벌레 虫
취(醉)취할 酔
치(恥)부끄러울 耻, 치(齒)이 歯, 치(癡)어리석을 痴
칠(漆)옻/옻칠할 柒
침(沈)잠길 침/성 沉
칭(稱)일컬을 称
탄(彈)탄알/쏠 弾
택(擇)가릴/고를 択, 택(澤)못 沢
토(兔)토끼 兎
패(霸)으뜸 覇
폐(廢)폐할/버릴 廃
포(鋪)펼/가게 舖
학(學)배울 学
함(鹹)짤 醎
해(解)풀 觧
허(虛)빌 虚
헌(獻)바칠 献
험(驗)시험 験, 험(險)험할 険
현(顯)나타날 顕, 현(縣)매달/고을 県
협(峽)골짜기 峡
형(螢)반딧불이 蛍
호(號)부르짖을 号
확(擴)넓힐 拡
환(歡)기쁠 欢
회(會)모일 会, 회(懷)품을 懐
흥(興)일어날 兴
한자는 글자가 워낙 많고 획수가 복잡하여 최근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정자를 쓰지 않고
획수를 줄이거나 변형하여 만든(再製字) 약자(略字, 俗字, 半字, 간편자)를 쓰고 있다.
관청(官廳, 官庁)과 언론(言論)은 물론 도로표지, 안내판
대한민국에서는 정자(正字, 本字)와 약자를 모두 알아야 하는데 이는,
우리나라는 아직 혼용하여 쓰고 있기 때문이다.
뜻을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글자인 한자(表意文字)가 우리말과 글에서 70%를 차지하고 있으니
최근 여러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자능력검정시험(漢字能力檢定試驗) 등에서
정자와 약자 모두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교육 > 한문(한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무재칠시(無財七施) (0) | 2012.03.26 |
---|---|
일상에서 가장 많이 쓰는 한자 약자 요약 (0) | 2012.02.21 |
[스크랩] 국가공인자격검정기관 10단체 등급별 선정한자수 및 인정학점 비교 (0) | 2012.01.19 |
故事成語 (0) | 2011.09.27 |
모든일은 즐기는 것이 제일이다(孔子) (0) | 2011.07.11 |